우리교실 우리교실

학급별 내용을 설명합니다.

조회 수 4938 추천 수 0 댓글 0

오늘 수업한  '스스로 터득한 지혜'대한 내용 정리입니다. 복습용으로 활용하세요~!
좋은 한 주 되길 바라며~ 숙제 열심히 하고! 다음 시간에 지각하지 말고!! 건강한 모습으로 만나요~~


3. 문학과 의사소통


⑴ 스스로 터득한 지혜


이야기는 강희맹의 《사숙재집》에 실려 있는 <훈자오설> 가운데 하나이다. 일정한 수준에 오른 자신의 학문에 만족해하는 아들에게 자신만의 독보적인 학문 세계를 펼치는 위대한 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지금의 수준에 만족해서는 안 되고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응용과 창조를 거듭해야 함을 아버지 도둑과 아들 도둑의 이야기를 통해서 우의적으로 말하고 있다.


♣줄거리

옛날에 아버지 도둑 부자가 있었다. 아들 도둑은 아버지로부터 도둑질을 배워 일정한 수준에 오르게 되었다.

어느날 아들 도둑이 자만심에 빠져 자신의 실력을 자랑삼아 말하자 아버지 도둑은 스스로 터득한 지혜가 부족하다며 훈계했으나 아들은 훈계했으나 아들 도둑은 수긍하지 않았다. 이튿날 밤 도둑 부자는 부자집 곳간 안에 아들도둑을 남겨놓고  자물쇠를 채운 후 일부러 주인에게 들키게 한다. 아들 도둑은 쥐 소리를 내어 문을 열게 해 빠져 나오고, 부자집 가족들이 쫒아오자 연못에 돌을 던져 이들의 시선을 따돌린 후 그 곳에서 도망친다. 집으로 돌아온 아들이 아버지 도둑에게 따지자 아버지 도둑은 스스로 터득한 지혜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글쓴이 강희맹은 이 도둑이야기를 토대로 학문의 길에 있어서는 스스로 터득한 지혜가 더욱 필요함을 강조하며 자신의 학문수준에 자만하는 아들을 훈계한다.


♣글의 이해

①갈래: 고전 수필

②문체: 역어체, 담화체, 설화체

③성격: 우의적, 교훈적, 설득적, 해학적

④제재: 도둑 부자의 이야기

⑤주제: 스스로 터득한 지혜의 중요성


♣글의 특징

①도둑 부자의 예화를 통해 깨우침을 전하는 우의적 형식을 취하고 있다.

②과장된 표현으로 익살스러운 웃음을 끌어낸다.

③교훈적 내용을 담고 있다.

④대화를 많이 사용하여 아버지가 아들에게 가르치고자 했던 교훈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아들 도둑이 스스로 지혜를 터득하게 된 상황

+곳간 문이 잠겨 갇힌 상황 → 쥐소리를 낸 지혜

+주인 가족이 자신을 잡으려고 쫒아오던 상황 → 연못에 돌을 던진 지혜


♣아들이 부잣집에서 빠져나오는 과정

+곳간에 갇힘 → 손톱으로 곳간 문을 긁어 소리를 냄 → 주인이 곳간 문을 열자 밖으로 도망침 → 주인과 가족들이 쫓아오자 연못 속에 커다란 돌을 던짐 → 쫓아온 사람들이 연못을 에워싸고 도둑을 찾는 틈에 그 곳을 빠져나옴.

 

♣지은이가 이 이야기를 쓴 본래의 의도

지은이

(강희맹)

옛날이야기

(스스로 터득한 지혜를 강조함)

독자

(강희맹의 아들)

→이 작품은 글쓴이 강희맹이 일정 수준에 오른 자신의 학문에 만족해하는 아들에게 들려주는 교훈적인 이야기이다. 자신만의 학문 세계를 펼치는 위대한 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스스로 얻은 지혜와 끊임없는 노력이 있어야 함을 도둑 부자(父子) 이야기를 통해 우의적으로 말하고 있다. 자신의 재주를 자만하고 있는 아들 도둑의 모습은 자신의 학문 수준에 만족하며 자만하고 있는 아들의 태도와 비슷할 것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설(說)에 대하여

+설 : 사물 또는 사건의 뜻과 이치를 해석해 자신의 의견을 붙여 깨우침을 전하는 형식의 글

+설의 특징 : ①한문체의 글이다.

                   ②이치에 따라 사물을 해석하는 글이다.

                   ③비유나 우의적으로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④국문학상의 갈래상 한문 수필에 해당한다.

                   ⑤옳고 그름을 밝히면서 글쓴이의 의견을 설명하는 글이다.


+배경 지식 : 의사 소통의 관점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①작가의 의도 파악하기: 작품의 이면에 작가가 존재함을 기억하고, ‘작가가 왜 이 작품 을 썼는지’, ‘작가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무엇인지’ 등의 의문을 찾아내려고 노력해야 한다.

②자신의 생각 반영하기: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경험한 것을 적극적으로 작품에 반영하면서 작품을 읽어야 한다.

③작가와 독자가 의사 소통하기: 문학은 작가만의 것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작가와 독자가 작품을 통해 만나 의사 소통하는 과정에서 작품은 의미를 가진다.


  1. 중등1학년

  2. "2021년도 비엔나 한글학교 문집- 중등 1반"

  3. "중등 통합반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4. No Image 09May
    by 함박웃음
    2009/05/09 by 함박웃음
    Views 4938 

    '스스로 터득한 지혜' - '설'에 대한 내용 정리

  5. No Image 13Oct
    by hegel59
    2008/10/13 by hegel59
    Views 6330 

    10월 18일 공개수업 교육계획안

  6. No Image 28Sep
    by hegel59
    2008/09/28 by hegel59
    Views 5994 

    10월 교육 계획안

  7. No Image 29Sep
    by 이은영
    2010/09/29 by 이은영
    Views 2 

    10월 교육 계획안

  8. No Image 02Oct
    by 한성애
    2014/10/02 by 한성애
    Views 1610 

    10월 교육 계획안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 Next
/ 26